현실적인 조언 세 가지
대학 생활
- 자신을 성인으로 인정해야 함
- 자율을 추구해야 함
(자유보다 자율)
- 책임을 감수해야 함

- 취업을 준비해야 함
- 우리 사회의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는 취업
- 우리 학과의 취업 상황은 (양적으로나, 질적으로나) 양호한 상황
- 왜 취업율이 높을까?
성장하는 산업이라서!
- 왜 연봉이 높을까?
아무나 프로그래밍을 못하니까!

성적
- 성적이 역량이나 열정을 전부 대변하지는 못함
- 성적은 등수를 분별하기 위한 수단
- 수업에서 배우는 기초적인 내용 30%가
실무에서 쓰이는 핵심적인 내용 80%를 차지함
- B 이상의 성적이면 기본적 실력을 갖추었다는 의미
- 실무 역량은 (기본 지식을 전제로) 열정과 인성이 중요함

- 암기에 의존해서는 코드를 작성할 수 없음
- 프로그램 작성은 외워서 할 수 없음
- 모든 문법을 암기할 필요가 없음
- 구글링 신공을 충분히 수련해야 함
- 타자 연습이 아닌, 생각 연습이 중요한 코딩!

취업

- 25년 일해서, 50년을 살아야
- 25세 전후에 사회에 진출
- 50세 전후에 직장에서 퇴출
- 100세 전후에 생을 마감
- 수입에서 2/3는 저축해야 기본을 유지할 수 있음
- 부모의 노후 준비금을 가불해서 공부하고 있는 세대가 많음
- 하루 빨리 부모로부터 독립!!

- 맞벌이가 대세인 세상
- 맞벌이를 해야 평균적인 경제적 수준을 누릴 수 있음
- 직업이 없는 여성은 남친이 고민하고, 예비 시어머니가 싫어함
- 결혼을 위한 첫째 준비는 취업

- 일반 사무직 취업의 위험성
- 사무직 취업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에 비하여 경쟁력이 낮음
- 특성화고 졸업생은
사무 역량은 높고,
급여는 저렴하면서,
나이는 어리다는 점에서,
경쟁력이 높음
- 사무직으로 취업에 성공해도, 30세 전에 퇴출될 가능성이 높음
- 30세 경에 전직을 고민해도 만만치 않음

- IT 개발자 취업의 장점
- 프로그래밍 실력이 스펙보다 중요함
- 경력자 중심인 IT 취업 시장
- IT 학과 졸업생을 채용하는 기업은 투자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
- 산업 자체의 성장성이 커서 취업 기회가 계속 늘어남
- 경력자가 될수록 연봉이 상승함
- 나이가 들어도 실력만 되면 전직이 가능함
- 새로운 기술 습득을 위한 공부를 계속해야 한다는 점은 부담

- 소중한 만큼 애정을 쏟아야
- 세상에 공짜는 없음
- 어려운 만큼 보상이 있음
- 공들인 만큼 보람이 있음
- 균형감 있는 관리가 중요함

근본적인 조언 세 가지
자존감
가치관
태도
요약
- 현실적 조언
- 대학 생활
성인으로서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 생활이 되길!
- 성적
기본이 중요하다! 코딩은 암기가 아니다!
- 취업
취업은 소중하다! 정성을 쏟아야 한다! IT 취업을 권한다!
- 근본적 조언
- 자존감
스스로 자신을 존중해야! 성찰이 필요하다!
- 가치관
가치체계를 정립해야! 성찰이 필요하다!
- 태도
품격있는 태도를 훈련해야! 성찰이 필요하다!
